티스토리 뷰

반응형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인간이 갈 수 없는 특별한 세계

치히로는 평범한 10살 소녀이다. 정든 동네를 떠나 이사를 가던 날, 우연히 부모님과 함께 찾은 동굴을 탐험하게 된다. 그리고 동굴의 끝에 펼쳐진 푸른 초원에서 가족들은 구경을 하게 된다. 초원의 끝에 보게 된 음식점에서 부모님은 허기를 달래고자 식사를 하게 되고, 치히로는 그 사이 주위를 구경한다. 그리고 다시 부모님에게 돌아갔을 때에는, 부모님은 이미 돼지로 변해버린 후였다. 그렇게 치히로는 순식간에 부모님을 잃어버리게 되고, 몸이 점점 사라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하쿠를 만나게 되어 다행히 몸의 변화는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쿠를 통해 알게되는 사실은 부모님이 정말 돼지로 변했다는 것과 이를 풀기 위해서는 하쿠가 속해있는 온천에서 일을 해야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일을 하기 위해서는 온천의 사장인 유바바의 허락을 맡아야 한다고 했다. 그렇게 유바바에게 찾아가게 되는 치히로는, 유바바에게 도착하기 전까지 많은 요괴들을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이곳은 사람들이 사는 세계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유바바에게 도착 하고, 운 좋게 일자리를 얻게 되지만, 유바바는 치히로라는 이름을 가져가고 그 대신에 센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주게 된다. 그렇게 센으로 살게 되는 치히로는 새로운 세계에 적응을 하게 된다. 적응하는 것은 쉽지 않았지만, 그곳도 누군가들이 살고 있는 곳이었기에 크게 다른 건 없었다. 종종 하쿠를 몰래 만나서 안부를 전하고, 돼지로 변해버린 부모님에게 찾아가 꼭 자신의 삶을 되찾으리라 다짐한다. 그러다 하쿠가 용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하쿠가 무언가로부터 쫓기고 있다는 것을 눈치챈다. 그렇게 하쿠를 살리기 위해 하쿠를 쫓아가게 되지만 치히로에게 집착하는 가오나시 때문에 온천은 엉망이 되어버린다. 온천을 해결할 새도 없이 하쿠를 살리기 위해 치히로는 하쿠가 저지른 잘못에 대해 유바바의 쌍둥이 언니인 제니바에게 찾아간다. 그 사이에 하쿠는 유바바와 계약을 파기하고 유바바의 놀음에서 벗어나기로 한다. 제니바에게 찾아간 치히로는 하쿠를 대신해 사과하고, 용서를 구한다. 제니바는 이를 받아주고 하쿠와 치히로를 다시 온천으로 돌려보낸다. 그리고 온천으로 가는 길목에서 하쿠가 잃어버린 진짜 이름을 찾아주는 치히로를 통해 하쿠 역시 자신의 정체성을 되찾게 된다. 그렇게 부모님까지 되찾게 되는 치히로를 하쿠는 배웅해주며 영화는 끝이난다. 

영화는 한 소녀가 우연히 인간이 들어가서는 안 되는, 들어갈 수 없는 세계에 들어간 것을 통해 일어나는 일들을 적당한 스릴감과 새로운 세계의 묘사로 스토리를 이끌어 나간다. 영화 속 배경이 요괴들과 신들이 사는 세계이기 때문에 인간의 능력 밖인 상황이 자주 펼쳐지고 감독은 이를 애니메이션으로 디테일하게 살려내어 신비성을 더했다. 이러한 특수성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으로부터 나온 것이자, 그를 대표하는 영화 속 설정 들이기도 하다. 

영화로 보는 일본 문화

 

온천이라는 환경 자체는 일본 문화의 전통적인 부분을 반영한다. 온천, 즉 '센토'는 수세기 동안 일본의 공동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였다고 한다. 이 영화에서는 온천을 방문하는 요괴 및 신들을 등장시켜서 일본 민간 설화와 신화에서 온천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 온천 내부의 모습을 보면 미닫이문으로 설계되어 있고, 온천을 방문한 손님들은 유카타와 기모노를 입으며 일본의 전통적인 문화를 보여주고 있다. 온천의 고층에 해당 되는 층은 치히로가 유바바를 만나러 갈 때 잠시 나오는데, 프라이빗하게 식사를 즐기는 공간들로 나온다. 이러한 공간들의 디자인 역시 일본 가옥에서 유행하는 대표적인 느낌을 토대로 디자인 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뭇바닥이나 미닫이문, 그리고 창이 비치는 천으로 덧댄 문이 그러한 모습이다. 근본적으로 요괴들과 신들이 나오는 장면은 일본 민속 문화에 큰 기반을 두고 있고, 이 세계에 들어가 활동하는 것은 일본의 신화적 모습도 담겨있다. 초반에 치히로가 부모님과 함께 터널을 건너가는 것은 일본의 신사의 입구를 연상시키고, 이는 치히로가 들어간 세계와 연관 되어 나타난다. 치히로가 제니바를 만나럭 가는 길에 타게 되는 영혼열차는 일본 신화나 민간전승에 자주 등장하는 초자연적 열차의 개념을 반영한 것이다. 기차 자체는 살아있는 세계와 죽은 세계 사이의 여행을 상징하며, 이는 영화의 주제와도 일치한다. 강의 신이었던 하쿠는 일본 문화 속에서 자연과 그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낸다. 강이라는 개념은 일본에서 신성한 것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절을 하는 행위 역시 문화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 감사와 존경의 표시로 절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감사한 마음을 언어적 표현을 넘어, 행동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일본인들의 행동이 많이 반영 된 문화이다.

상징적 의미

치히로 이름의 한자 의미를 해석해본다면, 千尋라는 한자 그대로 천번의 탐색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것은 치히로가 영혼의 세계에 들어갈 때의 두려움, 혼란 상태 그리고 불확실함에 대한 불편한 마음을 반영한다. 치히로는 이러한 신비롭고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으며, 매 순간을 헤쳐나가야만 하면서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발견해야 한다는 것을 상징한다. 나는 여기서 더 나아가 치히로가 다시 센이 아닌 치히로의 이름을 되찾은 것 역시 치히로가 스스로를 지켜낸 것으로 해석하고 싶다. 반면 센이라는 이름은 千 한자 뜻대로 천을 의미하는데, 천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다양한 어려움을 이겨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치히로에서 센을 통해 다시 치히로가 되는 과정을 통해 치히로가 이름의 뜻대로 스스로의 두려움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겨내면서 다시 자신을 되찾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히로의 영혼 세계에 대한 탐험은 은유적으로 치히로의 청소년기 시절 자아 발견의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도 해석된다. 치히로의 성장 과정은 영화 전반에 걸쳐 드러나고 영화 초반과 비교하여 훨씬 더 성숙한 치히로의 모습을 통해 치히로가 영혼 세계의 탐험을 통해 성장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반응형